본문 바로가기

패스트캠퍼스_컴공전공필수+인공지능/0원 챌린지

3/10(금) 인공지능역사 2

3. 인공지능의 정점

  • 1987년 : 인공지능의 재조명
    • 더글러스 레나트 교수, 상식적인 능력을 가진 초기 인공지능 'Cyc' 발표
    • 더글라스 레나트 (1950 - 현재) :
      • 미국의 연구자이자, Cycrop CEO
      • Microsoft와 Apple의 과학 자문 위원회에서 활동한 유일한 인재
  • 1986년 : 오류역전파 발견, 인공지능의 귀환
    • 데이빗 럼멜하트, 인지과학을 연구하는 도중, 오류역전파 발견
    • 1986년 오류역전파 관련 논문 작성시 -> 영국에서 건너 온 제프리 힌튼 (Geoffrey E. Hinton)이 참여하면서 인공지능의 꽃이 피게 한 시초작품이라고 볼 수도 있음
    • 병렬 분산처리 기능에 대한 연구 통해, 인공지능 연구 속도 발전에 기여
  • 1989년 : IBM 체스 특화 인공지능 ‘딥블루’ 제작
    • 쉬펑슝 교수, 머리 캠벨과 병렬처리를 공동작업하여 딥블루를 제작
    • 쉬펑슝 (1959-현재) : 대만계 미국인 컴퓨터 과학자, Deep Blue의 설계자 및 수석 디자이너
  • 1989년 : CNN 창시 (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) - 이미지 학습에 가장 활발히 사용 
    • 얀 르쿤, 손으로 쓴 숫자를 인식할 역전파 기반의 합성곱 신경망을 개발
    • 얀 르쿤(1960-현재): 프랑스 기계학습, 컴퓨터비전, 전산신경과학 등 연구 Facebook의 AI 최고 책임자 겸 부사장, 뉴욕대 교수 제프리 힌튼의 제자

 

  • 두번째 AI winter 의 시작 : 기술적으로는 많이 연구되었으나, 기계의 성능이 낮았음.
    • 1987년 : LISP 기계 시장의 붕괴
      • 최초의 상업용 단일사용자 워크스테이션 시장의 붕괴
    • 1988년 : 미국 정부의 ‘Strategic Computing Initiative’에서 AI에 대한 예산 취소
      • 1983-1993, 10년간 고급 컴퓨터 하드웨어에 대한 연구에 투자였으나, AI에 대한 투자를 1988년부터 취소함
    • 1993년 : ‘Expert System’ 배포속도 저하
      • 인간 전문가의 의사 결정 능력을 모방하는 컴퓨터 시스템이었으나, 
      • 시스템 배포 및 유지 관리에 대해 저항이 불거짐
    • 1990년대 : 5세대 컴퓨터 프로젝트의 목표 종료
  •  

 

 


* 필수 삽입 링크 : http://bit.ly/3Y34pE0

 

패스트캠퍼스 [직장인 실무교육]

프로그래밍, 영상편집, UX/UI, 마케팅, 데이터 분석, 엑셀강의, The RED, 국비지원, 기업교육, 서비스 제공.

fastcampus.co.kr

<사진 2장>

 

 

> 본 포스팅은 패스트캠퍼스 환급 챌린지 참여를 위해 작성되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