6373
1. 기억 속 인공지능 vs 실존 인공지능
=> 인공지능 의 정의가 상상한 만큼과 현실에서의 정의가 많이 차이가 있다. 그 차이와 개념을 확실히 적립하고 가는 것이 매우 의미있을 듯 하다.
- 인공지능이란?
- 기억 속 인공지능은 어떤것인가? -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막연히 생각하는 인공지능
- 인간보다 빠르고 정확한 두뇌를 갖고 있다.
- 인간보다 우월한 신체 능력? 로봇같은 경우? 갖고 있다. ex) 터미네이터
- 빅데이터 (Big Data)라는 정보의 바다 속에서도 탁월한 정보 선별 및 명확한 의사 결정
- 대량의 데이터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뽑아서 사용가능하다.
- 실제 세계와 거의 동일한 가상 환경
- 인간고 비슷한 마인드를 가진다. 영화에서 자주 보이는 형태
- 과부화 없이, 스스로 강화학습 (자율학습)
- 스스로 생각하고 학습하는 인공지능의 형태로 영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소재인듯 하다.
- 기억속 인공지능 예시 1 : 터미네이터
- 인공지능 로봇으로 사람과 유사하게 행동한다.
- 기억속 인공지능 예시 2 : 영화 Her
- 인공지능 프로그램으로 여자를 감정적으로 완벽히 구현하여 사람으로 하여금 진짜라 믿게 만들 정도로 나온다.
- 기억속 인공지능 예시 3 : 영화 엑스마키나
- 실생활에서 본 인공지능은 어떤가요? = 실존 인공지능이다. 현재 우리가 정의하고 있는 인공지능을 의미한다.
- 단인 Model 그 자체(model , model 하나하나 다 인공지능이라고 실제로는 보고 있다.) -> 알고리즘 수준이다.
- 인간에 의해 구조 및 체계 디자인이 되었다. -> 스스로 자생 불가하고 인간으로 인해 만들어진 것이다.
- 한계성 있는 환경 내에서 모형 구축 (즉, 모형 구축 환경에 한계가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.) -> 실제 환경에 가깝게 가정할 수 있는 모형 구축이 가능하다.
- 메모리, 디스크 성능에 따라 과부하가 존재할 수 있다. -> 주어진 성능 내에서만 자율학습 가능하다. (성능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 밖에 없다..)
- 실존 인공지능 예시 1 : 알파고
- 바둑으로 이세돌을 이긴 것으로 유명하다.
- 원래 바둑은 몇수 앞을 보고 둬야해서 인공지능이 인간을 따라갈 수 없는 영역일 것이라고 여겨졌는데 깨진 것이다.
- 실존 인공지능 예시 2 : 자율주행 - 테슬라
- 자율주행 기술이다.
- 다른말로 컴퓨터 비전 분야라고도 볼 수 있다.
- 실존 인공지능 예시 3 : ai speaker (네이버 클로버 ai 스피커, 카카오 ai 스피커)
- 음성인식을 사용한다.
- 자연어 처리 방법을 사용하였다.
- 기억 속 인공지능은 어떤것인가? -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막연히 생각하는 인공지능
* 필수 삽입 링크 : http://bit.ly/3Y34pE0
패스트캠퍼스 [직장인 실무교육]
프로그래밍, 영상편집, UX/UI, 마케팅, 데이터 분석, 엑셀강의, The RED, 국비지원, 기업교육, 서비스 제공.
fastcampus.co.kr
<사진 2장>
'패스트캠퍼스_컴공전공필수+인공지능 > 0원 챌린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/10(금) 인공지능역사 2 (0) | 2023.03.10 |
---|---|
3/09(목) 인공지능 역사 (1) | 2023.03.09 |
3/07(화) 파일 입/출력 4 실습 (복습) (1) | 2023.03.07 |
3/06(월) 파일 입/출력 3 (0) | 2023.03.06 |
3/05(일) 상속과 예외처리 실습(복습) (0) | 2023.03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