패스트캠퍼스_컴공전공필수+인공지능/0원 챌린지
3/11(토) DB연동과 정규식 1
2EV
2023. 3. 11. 23:50
DB 연동
- Pip 설치
- 파이썬 가장 큰 장점 : 다른 사람의 모듈, 라이브러리 (미리 만들어져있는 것) 를 받아 쓸 수 있다는 것이다.
- pip 으로 install 하며 해당 모율, 라이브러리 들은 pypi 사이트에 저장되어있음
- pipy 사이트:
- 파이썬 모듈 , 라이브러리 사용자가 등록한다.
- 파이썬 모듈, 라이브러리 통합해서 올린 사이트인 것이다.
- 공식적으로 어느정도 인증된 라이브러리가 볼 수 있다. 확실히 다는 아니지만..
- 사람들이 pip 으로 install 해서 불러 사용할수 있다.
- Anaconda prompt 를 통해 필요한 라이브러리 설치
- 본인 컴퓨터에서 진행할 때 사용
- pip install pymysql
- 또는 conda install pymysql
- python 과 mysql 연동하려면 pymysql 설치해야함
- Database
- 데이터베이스 (DB)란?
- 특정 다수의 이용자들에게 조직 내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를 체계적으로 축적하는 저장소이다.
- 이 저장소에 자주 쓰이는 표준 언어로 sql 이 있다.
- 데이터 베이스 관련 내용은 데이터 베이스 수업시간이 따로 있음))
- 일반적으로 내 컴퓨터 데이터는 하드디스크에 저장한다
- 혼자 개발할 때는 문제 없다.
- 하지만 여럿이 개발할 때는 공유 저장소가 필요한데, 이 공유저장소가 바로 데이터베이스 DB 이다.
- 데이터 베이스를 다룰 수 있는 언어, 즉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가공할 수 있게 해주는 언어가 바로 sql 이라는 것이다.
- 따라서 sql 또한 언어이므로, 문법이 따로 존재한다.
- 파이썬에서도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할 수 있다.
- 데이터베이스 (DB)란?
- DB 연동
- 실습을 해보자 )
- import sqlalchemy # sql alchemy 라는 sql 을 import 하는 문장으로 추정
- engine = sqlalchemy.create_engine('sqlite://test.sqlite') # 데이터베이스 실제 사용시 사용할 드라이버 설정해줘야하는데 create 으로 생성하는 것을 알 수 있고 주소 라인 안에 sqlite:// 부분에서 sqlite 를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.
- sqlite : 가상의 데이터 베이스로, 파이썬이 갖고있는 가상의 내부 데이터 이다.
- conn = engine.connect() # connect 로 위에서 설정한 엔진을 connect 해주고 있다.
- conn.execute('CREATE TABLE test (col1 test, col2 test)') # execute 명령어로 sql 문법이 실행된다. create table 로 테이블 생성 / test : 테이블 이름 / col 칼럼 : 열 (세로) - 열 2개 만들고 각각 test란 이름 들어감 (칼럼 이름이 바뀌는 것)
- conn.execute("INSETR INTO test VALUES ('test1', 'test2')") # 해당 value 를 추가해주라는 뜻인듯?
- conn.execute('select * from test').fetchall() # 값을 가져와 보려면 범위 지정(여기선 전체 *)하고 fetch 까지 해줘야 하나봄.. 자세한건 db시간에
- conn.close() # 파일처럼 close 도 해줘야 하는 것을 볼 수 있다.
- 실습을 해보자 )
* 필수 삽입 링크 : http://bit.ly/3Y34pE0
패스트캠퍼스 [직장인 실무교육]
프로그래밍, 영상편집, UX/UI, 마케팅, 데이터 분석, 엑셀강의, The RED, 국비지원, 기업교육, 서비스 제공.
fastcampus.co.kr
<사진 2장>
>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