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파일 처리
- 파일 경로 설정
- 1. 절대 경로
- 파일의 경로를 루트(가장 기본이 되는 폴더)부터 직접 기재하는 방식
- 윈도우의 경우 폴더 구분 기호로 \(W)를 사용하고 리눅스나 맥 등은 /를 사용.
- 주의! \(W)는 escape 문자이기 때문에 \\로 입력해야함.
- 파일의 경로를 루트(가장 기본이 되는 폴더)부터 직접 기재하는 방식
- 2. 상대 경로
- 파일의 경로를 현재 위치로부터 상대적으로 입력
- ./ : 현재 폴더를 의미, 생략해도 무방하다.
- ../ : 상위 폴더를 의미
- 1. 절대 경로
- 파일 읽기
- 파일 읽는 법
- 1) read() 함수 : 파일 전체 내용을 문자열로 변환 -> 그냥 문자열 그대로 쭉 나타냄
- 사용예시)
- file = open('C:/Users/Home-PC/Documents/test.txt','r')
- text = file.read()
- file.close()
- 2) readlines() 함수 (s가 붙어있다 -> line 들을 읽는다) : 파일의 모든 줄을 읽고 각 줄을 요소로 갖는 리스트 반환-> 줄 단위로 나뉨, 나뉜 요소들을 리스트로 저장
- 사용예시)
- file = open('C:/Users/Home-PC/Documents/test.txt','r')
- text = file.readlines()
- file.close()
- 사용예시)
- 3) readline () 함수 (s가 붙어있지 않다, 한줄만 읽는다) : 파일의 첫 줄을 읽고 문자열 반환, 재호출시 그 다음줄의 문자열 반환 -> 한번에 한줄씩만, 다음 호출 때 기억했다 다음줄!
- 사용예시)
- file = open('C:/Users/Home-PC/Documents/test.txt','r’)
- line1 = file.readline()
- line2 = file.readline()
- file.close()
- 사용예시)
- 4) for 문으로 읽기: for 제어문으로 읽을 시 줄 별로 문자열을 읽어서 반환한다.
- 사용예시)
- file = open('C:/Users/Home-PC/Documents/test.txt','r')
- for i in file: # 이 부분이 핵심! -> file 에 대하여 i는 line일 것으로 추정한다.
- print(i)
- file.close()
- file = open('C:/Users/Home-PC/Documents/test.txt','r')
- 사용예시)
- 사용예시)
- 파일 쓰기
- 파일 쓰는 법:
- file.write()
- 이때, file open 을 w (write )모드로 설정해줘야함
- 사용예시)
- file = open('C:/Users/Home-PC/Documents/test2.txt',’w’) # w를 입력하여 쓰기모드로 실행
- text = file.write(‘연습')
- file.close()
- 파일 쓰는 법:
- 1) read() 함수 : 파일 전체 내용을 문자열로 변환 -> 그냥 문자열 그대로 쭉 나타냄
- With ~as
- open() 함수와 함께 with ~as 문을 사용하면 명시적으로 close() 함수를 호출하지 않아도 파일이 항상 닫힌다.
- 즉, close 를 안써도 된다는 뜻! 안전을 중시..
- 예시)
- with open('test.txt', ‘r ‘) as file:
- text = file.read()
- print(text)
- with open('test.txt', ‘r ‘) as file:
- 파일 읽는 법
- 파일 경로 설정
* 필수 삽입 링크 : http://bit.ly/3Y34pE0
패스트캠퍼스 [직장인 실무교육]
프로그래밍, 영상편집, UX/UI, 마케팅, 데이터 분석, 엑셀강의, The RED, 국비지원, 기업교육, 서비스 제공.
fastcampus.co.kr
<사진 2장>
>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.
'패스트캠퍼스_컴공전공필수+인공지능 > 0원 챌린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/06(월) 파일 입/출력 3 (0) | 2023.03.06 |
---|---|
3/05(일) 상속과 예외처리 실습(복습) (0) | 2023.03.05 |
3/03(금) 클래스 실습(복습) (0) | 2023.03.03 |
3/02(목) 파일 입/출력 (0) | 2023.03.02 |
3/01(수) 상속과 예외처리 2 (0) | 2023.03.01 |